오토캐드로 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비슷한 형태의 도형이나 객체를 반복해서 그려야 할 때가 많아요. 그럴 때마다 매번 새로 그리면 너무 비효율적이겠죠? 이럴 때 딱 필요한 기능이 바로 "블록(Block)"이에요. 오늘은 블록이 뭔지, 어떻게 만들고 수정하는지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친근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처음 배우는 분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하나하나 차근차근 풀어드릴게요!
블록이란?
오토캐드에서 블록은 간단히 말하면 하나의 그룹이에요. 여러 개의 선, 도형, 문자 등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객체'처럼 다루는 거죠.
예를 들면, 문짝, 창문, 책상 같은 걸 블록으로 만들어두면 필요할 때마다 복사해서 쓰고, 크기를 조정하거나 위치만 바꾸면 돼요. 일일이 다시 그릴 필요가 없으니까 시간도 절약되고, 도면 정리도 훨씬 깔끔해져요.
특히 도면이 커질수록 블록의 효과는 정말 강력해져요. 수정할 때도 블록 하나만 고치면, 그 블록을 쓴 모든 곳이 동시에 바뀌니까 진짜 편하답니다.
블록 만드는 방법
처음 블록 만들기라고 하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몇 번 클릭이면 끝나요.
블록 만드는 기본 방법은 이렇습니다:
- 먼저 블록으로 만들고 싶은 객체를 모두 선택해요. (선, 원, 문자 등 어떤 객체든 가능해요.)
- 상단 메뉴에서 '블록 만들기(Create Block)'를 클릭해요. 또는 명령어창에 BLOCK이라고 입력하고 Enter 키를 눌러도 돼요.
- 블록 이름을 입력해요. (예를 들어 'Door', 'Desk' 같은 식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이름을 정해요.)
- 기준점을 찍어요. (블록을 이동하거나 복사할 때 기준이 되는 점을 선택하는 거예요.)
- 확인(OK) 버튼을 누르면 끝이에요!
처음 만들 때 기준점을 어디로 찍느냐가 은근히 중요해요. 문짝처럼 열리는 방향이 중요한 블록은 경첩 쪽을 기준점으로 찍어주는 게 좋아요.
블록 수정 팁
블록을 만들고 나면 수정하는 방법도 꼭 알아야 해요.
블록 수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예요:
- 1. 블록 편집기(Block Editor) 사용하기
블록을 더블클릭하거나 명령어창에 BEDIT를 입력하면 '블록 편집기'가 열려요. 여기서 선을 추가하거나 지우고, 모양을 변경할 수 있어요. 편집이 끝나면 저장하고 닫기만 하면, 도면 안에 있는 같은 블록들이 전부 한 번에 수정돼요. - 2. 블록 폭발(Explode) 후 수정하기
급하게 수정이 필요할 때는 블록을 '폭발(EXPLODE)'시켜서 다시 여러 개 객체로 풀어버릴 수도 있어요. 다만 폭발하면 블록 속성이 사라지니까, 정말 필요한 경우에만 쓰는 게 좋아요.
실제 실무에서는 웬만하면 블록 편집기(BEDIT)로 수정하는 걸 추천해요. 도면 정리도 깔끔하고, 나중에 출력할 때도 훨씬 안정적이거든요.
오토캐드에서 블록은 도면 작업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만들어주는 필수 기능이에요.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도 있지만, 몇 번만 연습하면 "왜 진작 블록 안 썼지?" 하고 느끼실 거예요.
도면 정리, 작업 시간 단축, 수정 편의성까지 블록을 제대로 활용하면 작업 퀄리티가 눈에 띄게 달라집니다.
오늘 배운 블록 만들기와 수정 방법, 꼭 직접 한번 실습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