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를 다루다 보면 선만 그리는 게 아니라 치수를 정확히 표시해야 할 일이 정말 많아요. 그런데 기본 설정 그대로 쓰다 보면 치수 크기가 이상하거나, 글씨가 너무 작게 나오기도 해서 답답했던 경험 있으셨죠? 그럴 때 꼭 알아야 하는 게 바로 치수 스타일(DIMSTYLE) 설정이에요. 오늘은 치수 스타일이 뭔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쉽게 설정할 수 있는지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풀어드릴게요!
치수 스타일이 필요한 이유부터 알아봐요
치수 스타일을 설정하는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해요. 그냥 치수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도면마다 글자 크기, 화살표 모양, 선 굵기 등이 제각각이면 보기가 너무 불편하거든요.
특히 도면을 출력했을 때 크기나 비율이 엉망이면, 아무리 잘 그린 도면이라도 허술해 보일 수 있어요. 그래서 미리 치수 스타일을 정리해두면 도면 전체가 깔끔하고 전문적으로 보이게 돼요.
한 번 제대로 설정해두면, 그 다음부터는 매번 수정할 필요 없이 빠르게 작업할 수 있으니까요. 도면 품질을 올리고 싶은 분이라면 치수 스타일은 꼭 챙겨야 해요!
치수 스타일 기본 설정, 생각보다 쉬워요
처음에 보면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따라 해보면 금방 이해돼요.
치수 스타일을 설정하려면, 먼저 상단 메뉴에서 '주석(Annotation)' 탭으로 가요. 그다음 '치수 스타일 관리자(Dimension Style Manager)'를 열어야 해요. 좀 더 빠르게 하고 싶다면, 명령어창에 DIMSTYLE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바로 치수 스타일 창이 열려요!
새 스타일을 만들거나 기본 스타일을 복사해서 이름을 정하고, 텍스트 크기, 화살표 모양, 선 두께 같은 걸 설정해주면 돼요.
처음에는 복잡한 설정보다 글자 크기(Text Height)만 제대로 조정해도 충분해요. 도면 크기에 따라 글자 높이를 적당히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도면이 훨씬 보기 좋아진답니다.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치수 스타일 꿀팁
현장에서 치수 스타일을 제대로 쓰려면 몇 가지 팁이 있어요.
- 도면 축척에 따라 텍스트 크기를 조정해야 해요. A3 출력과 A1 출력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텍스트 높이도 다르게 설정해줘야 해요.
- 스타일을 복수로 만들어두면 편해요. 큰 도면용, 작은 도면용 따로 치수 스타일을 만들어두면, 상황에 맞게 빠르게 적용할 수 있어요.
- 수정할 때는 무조건 '현재 적용된 스타일'을 확인하고 시작하는 게 좋아요. 다른 스타일이 적용된 채로 치수를 추가하면, 전체 스타일이 어긋날 수 있거든요.
조금 귀찮더라도 처음에 세팅만 잘 해두면, 도면 작업이 훨씬 깔끔하고 프로페셔널해져요! 치수 스타일 하나만 제대로 관리해도 작업 능률이 눈에 띄게 올라가는 걸 느끼실 거예요.
오토캐드 치수 스타일은 도면을 더 깔끔하고 정확하게 만들기 위한 필수 기능이에요. 초보자라도 글자 크기나 화살표 모양 정도만 조정할 줄 알면, 훨씬 보기 좋은 도면을 만들 수 있어요.
한 번 제대로 세팅해두면, 이후 도면 작업이 훨씬 빨라지고 실수도 줄어든답니다. 지금 바로 치수 스타일을 한번 설정해보면서 연습해보세요. 작은 변화지만, 작업 결과물이 확 달라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