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간단한 표를 넣어야 할 때가 있어요. 재료 목록, 치수 정리표, 간단한 작업 지시사항 등 말이죠. 보통은 텍스트로만 처리하지만, 오토캐드 안에서도 표(Table) 기능을 활용하면 훨씬 깔끔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어요. 오늘은 표를 어떻게 삽입하는지부터, 셀 병합, 줄 너비 조절, 그리고 엑셀과 연동하는 방법까지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게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표 삽입하는 방법 - 기본 기능부터 익히기
표를 만들려면 상단 메뉴에서 [주석] 탭을 클릭하고, 거기서 [테이블] 아이콘을 선택해요.
그럼 새 표를 만들지, 외부 데이터를 연결할지 선택할 수 있어요. [빈 테이블 만들기]를 선택하면 표가 만들어져요!
빈 테이블 만들기에 체크를 한 다음 창의 오른쪽을 보면 표 스타일, 열과 행 개수, 셀 높이, 열 너비 등을 설정하는 부분이 있어요. 여기서 기본값 그대로 두고 [확인]을 누르면, 표를 삽입할 위치를 지정하게 됩니다. 원하는 갯수의 열과 행이 있다면 입력 후 확인을 눌러보세요! 확인을 누르면 마우스로 도면 위 아무 곳이나 클릭하면 표가 삽입되고, 엑셀처럼 셀을 클릭해서 내용 입력도 가능해요!
셀 병합, 줄 너비 조절, 스타일 변경까지
삽입된 표는 클릭하면 편집 모드로 전환돼요. 여기서 셀을 선택한 다음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다양한 옵션이 나타나죠.
엑셀을 조금 사용해보신 분들은 쉽게 작업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해요!
- 셀 병합: 두 개 이상의 셀을 선택하고 [셀 병합]을 누르면 하나로 합쳐져요.
- 행/열 추가: 기존 셀 위 또는 옆에 새로운 줄을 추가할 수 있어요.
- 줄 너비/셀 높이 조절: 셀 경계선을 드래그하면 마우스로 크기 조절 가능
- 문자 정렬: 텍스트를 왼쪽, 가운데, 오른쪽 정렬로 바꿀 수 있어요.
- 표 스타일 변경: 상단 [속성] 탭에서 글꼴, 크기, 색상 등을 조정 가능
이렇게만 알아도 간단한 재료표나 치수표는 깔끔하게 만들 수 있어요.
엑셀 데이터 불러오기, 자동화
엑셀에 이미 작성해둔 표가 있다면, 오토캐드에 그걸 바로 불러오는 방법도 있어요.
[주석] → [표] → “데이터 링크에서 삽입”을 선택하면 엑셀 파일을 연결하는 창이 열립니다. 빈 테이블 만들기 아래에 있어요!
여기서 [데이터 링크 관리자 실행]를 클릭하고, 엑셀 파일을 찾아 연결하면 도면 안에 엑셀 표가 삽입돼요. 표를 더블클릭하면 엑셀 창이 함께 열리고, 수정하면 도면에서도 반영돼요.
주의할 점은 이건 ‘링크’ 방식이라, 엑셀 원본을 지우거나 경로를 바꾸면 오토캐드에서도 오류가 날 수 있다는 거예요.
표 형식 도면을 자주 다룬다면 이 기능은 꼭 익혀두시는 걸 추천드려요!
오토캐드에서 표 삽입 기능은 생각보다 간단하면서도 실무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능이에요.
직접 입력하거나, 엑셀에서 불러오거나 어떤 방식이든 도면을 훨씬 깔끔하고 전문적으로 보여줄 수 있어요. 오늘 알려드린 기능, 한번 따라 해보시면 작업 만족도가 확 올라갈 거예요!